나의 호주 이야기144 145. 호주 울워스에서 만난 비비고 냉동 김밥 시식 후기 및 가격 분석 최근 호주의 대표적인 대형마트 체인인 울워스(Woolworths)에서 한국의 비비고 냉동 김밥을 만나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록 냉동 김밥의 유행이 한풀 꺾였다고는 하지만, 이번 출시를 통해 호주 소비자들에게 한국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인 김밥을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호주에서는 일본식 롤, 즉 스시가 매우 친숙한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밥은 아직 많은 호주인들에게 생소한 음식입니다. 김밥과 스시는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사용되는 재료와 맛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김밥은 다양한 재료를 밥과 함께 김으로 말아 만든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 밥과 다양한 속재료의 조화가 특징입니다. 반면 스시는 주로 식초로 간을 한 밥과 생선 등의 재료를 사용합니다.. 2025. 1. 29. 144. 호주와 한국의 계엄령: 정치적 위기와 민주주의의 갈림길 2024년 12월, 한국에서는 대규모 사회적 불안과 시위에 대응하기 위해 계엄령이 선포되었습니다. (물론 많은 부분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군대의 개입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둘러싼 활발한 토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주의 역사적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호주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엄령을 선포한 적이 없으며, 군대의 국내 개입을 극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호주는 오늘날 안정적인 민주주의 국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정치사 속에는 몇몇 중요한 위기와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계엄령과 헌정 위기는 호주의 정치 체제의 특징과 문민 통제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호주에서 발생한 역사적 계엄령 사건인 '케슬힐 죄수 .. 2024. 12. 4. 143. 호주 약국과 한국 약국 비교 호주 워홀 생활 중, 갑자기 몸이 아파 약국에 갔는데 마치 시험 보는 기분이 들었던 적 있나요? 물론 영어가 안되서 약사님께 영어 면접 보듯 질문과 대답을 주고 받은 경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약간은 다른 약국의 분위기에 이질감이 드셨을 수도 있습니다. "왜 약을 사고 싶은지 설명해보세요.", "이 약은 판매할 수 없습니다."Why you want to buy medicine. This medicine cannot be sold. 호주의 약국은 한국과 완전히 다릅니다. 단순히 약을 사고 끝나는 게 아니라, 병원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고, 약을 구매하는 절차가 까다롭기도 하죠. 아직도 모든 병에 "파나돌" 하나로 버티시나요? 오늘은 호주와 한국의 약국 시스템 차이를 진짜 워홀러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파헤쳐 보.. 2024. 12. 3. 142. 호주 정부, 16세 미만 청소년의 SNS 사용 금지 추진 호주에서 한 15세 청소년이 SNS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외모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며 우울감을 호소하다가 결국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SNS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을 당한 한 청소년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으며 자존감 저하와 불안 장애를 경험했습니다. 이처럼 SNS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우리 사회에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아이가 혹시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지는 않은지 걱정되시나요? 최근 호주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바로 16세 미만 청소년들의 SNS 사용을 전면 금지하겠다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죠. 이 법안이 사회에 어떤 파장을 불러일으킬지, 그리고 실제로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 2024. 11. 13. 이전 1 2 3 4 5 ··· 36 다음